-
세계경제에서 환율은 왜 중요할까?생활경제정리 2022. 7. 14. 07:00반응형
환율, 세계경제의 흐름을 좌우하는 가치
세계경제에 대한 뉴스나 신문을 보게 되면 늘 빠지지 않고 나오는 이야기가 바로 환율입니다. 환율의 변화는 세계경제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환율을 잘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사람들과 이야기해보면 환율을 헷갈려하거나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 세계가 모두 똑같은 통화를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원화를 사용하지만 미국에서는 달러를 사용합니다. 이밖에도 엔화, 파운드화, 위안화, 유로화 등 세계에는 수많은 통화가 있습니다. 이 통화들을 서로 교환할 때의 비율이 환율입니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원화를 제외한 나머지 통화가 외환이므로 환율은 외환의 가격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많은 통화가 존재하므로 환율도 수없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달러와 엔화의 교환 비율은 엔/달러 환율이 1 달려=100엔이라면 1달러를 100엔 주고 살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중 우리나라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환율은 원화와 달러의 교환 비율입니다. 달러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축통화이기 때문에 환율이라고 하면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달러와의 환율을 가리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원/달러 환율이 되겠죠? 환율이 1 달려=1,000원이라면 1달러는 1,000원으로 바꿔준다는 것입니다.
현 2022.07.12 일 종가 기준 [원/달러] 환율은 1,312.1원환율이 상승하면 달러가치는 어떻게 될까요?
환율이 1달러=1,000원에서 1 달려=2,000원으로 올랐다고 가정하면 예정에는 1달러로 1,000원어치를 살 수 있었는데 이제는 무려 2,000원어치나 살 수 있습니다. 달러가치가 상승한 것입니다. 반면 전에는 2,000원을 주고 2달러를 살 수 있었는데 이제는 1 달러밖에 살 수 없으므로 원화가치는 그만큼 하락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계산이 빠르게 되지 않을 경우 " 환율 = 달러 가치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환율이 상승하면 달러 가치가 상승하고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는 내려갑니다. 반대로 환율이 하락하면 달러 가치가 하락하고 원화가치는 상승합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원화가치가 내려가므로 수출 기업들에게 유리해질 수 있습니다.여러 위험요소를 동반하는 정부의 환율개입
그렇다면 환율은 어떻게 결정될까요?
환율은 외환시장(외환이 거래되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외환시장에서 달러를 사는 사람들이 많으면 달러가치가 상승하면서 환율이 상승합니다. 반대로 달러를 팔거나 원화를 사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달러가치가 하락하면서 환율이 하락합니다. 환율은 기본적으로 외환시장에서 결정되지만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해 인위적으로 환율을 높이거나 낮출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가 외환시장에서 달러를 대거 사들이면 달러가치가달러 가치가 올라가 환율이 상승합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이명박 정부 때의 고환율 정책입니다. 당시 고환율 정책으로 원화가치가 내려가 수출기업들이 많은 돈을 벌었습니다. 그러나 달러 가치가 상승하면서 수입 원자재 가격이 올라 물가가 많이 올랐습니다. 당시 정부는 서민물가를 안정시키려고 생필품 수십여 가지를 묶어 MB물가지수를 만들었는데 오히려 다른 물가지수보다 더 많이 올랐습니다.
반대로 정부가 환율을 낮추기 위해 외환시장에 달러를 공급할 수 도 있습니다. 이때 외환보유고에 보유하던 달러를 풀게 되는데 너무 많은 공급을 하게되면 외환보유고가 바닥나 외환위기가 올 수 있습니다. 이처럼 정부의 환율 개입은 여러 가지 위험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과연 이번 인플레이션을 어떻게 잡을 것인지 이 내용을 토대로 한번 생각해보시면 어떨까요.https://qusrlfxo.tistory.com/36
금리와 물가는 어떤관계가 있을까?
금리와 통화량, 물가의 불가분 관계 금리, 통화량, 유동성, 현금가치, 물가 등은 뉴스나 신문에 나와 익숙하지만 하나하나 설명하고자 들면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금리란 무엇을까요? 금리는
qusrlfxo.tistory.com
https://qusrlfxo.tistory.com/38
기준금리 "빅스텝" 0.5% 인상 주담대,사업자대출 물가를 잡기 위한 빅스텝인가 국민의 목을 쬐는
한국은행 보도자료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재의 1.75%에서 2.25%로 상향 조정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국내외 경기 하방위험이 증
qusrlfxo.tistory.com
https://qusrlfxo.tistory.com/33
코스피·원화가치, 저평가 영역에 들어섰다 투자기회일까? 현금보유를 해야하는가
기사내용정리 2300선 밑으로 떨어졌고 원-달러 환율은 1300원을 넘어섰다.코스피와 원화 가치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왔다. 코스피가 상승하는 기간에 원화 가치가 올랐고(원-달러 환율의 하락),
qusrlfxo.tistory.com
반응형'생활경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7.18 국토부 핵심 추진과제 정리 (0) 2022.07.18 「폐업점포재도전장려금」 요건과 신청방법 (0) 2022.07.14 [8.25 기준금리 인상 후 수정]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상품 비교 [ 신한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케이벵크 ] (0) 2022.07.13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및 다양한 지원사항 정리 (0) 2022.07.08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도입 시행일과 내용정리 (0) 2022.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