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태그플레이션이란?경제 용어정리 2022. 6. 29. 11:19반응형
올해 #우크라이나전쟁 으로 인한 물가,유가 상승 및 미국의 금리 자이언트스탭으로 인한 국내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가능성이 높다라는 평가들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이란?)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은 제가 작성한글을 참고하여 읽어주시고 스태그플레이션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 이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모든 상품의 물가가 전반적으로 꾸준히 오르는 경제 현상 인플레이션이란 용어의 역사 인플레이션이라는 용어는
qusrlfxo.tistory.com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스태그네이션(Stagn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거시경제학에서 고 물가 상승과 실직,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뜻합니다. 그 정도가 심할 경우 '슬럼프플레이션'이라고도 표현합니다.
보통 단기적으로 실업률과 물가상승은 반비례관계에 있으며, 이는 필립스 곡선으로 설명 가능하다.
한 경제단위의 생산잠재력이 정상적으로 가동할 경우 통화량 증가 → 실업률 하강, 인플레이션이 일반적인 프로세스이다. 반대의 경우인 디플레이션은 약간 다르긴 하지만 현상 자체는 비슷하다. 그런데 여기서 총공급의 수축으로 일반적인 프로세스가 갑자기 무너지고 정 반대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 중 한 가지는 공급 비용의 상승이다.예컨대 석유를 수입하는 나라의 경우, 오일 쇼크로 원유값 상승 → 원재료 공급단가 증가 → 생산품 가격증가의 테크로 물가가 전체적으로 높아지고 생산비용의 증가로 생산은 감소한다. 따라서 실업률은 더 높아진다.
구분 1970 년대 2022 (현재) 원유값 오일쇼크 사태로 인한 상승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유값 상승 원재료 원재료 공급단가 상승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급 저하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상승실업률 생산품 가격증가의 테크로 물가가 전체적으로 높아지고 생산비용의 증가로 생산은 감소한다. 대처 방안은?
스태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의 악영향과 디플레이션의 악영향이 동시에 발생되는 현상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정부의 입장에서 경기침체를 완화하기 위해 경기부양 정책을 펼친다면 물가가 더 크게 상승되고, 인플레이션을 완화하기 위해 통화량을 줄이면 기업의 수익이 감소하기 때문에 경기 침체가 유발된다. 따라서 현금의 가치 하락과 경기 침체 모두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주식, 현금 등의 비율을 줄이고 금이나 원자재의 비율을 늘리는 것이 좋다.
현 정부의 말도 안되는 최저임금 동결, 대기업의 임금 상승률이 높아져 그로인한 중소기업의 임금 상승률이 올라간다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했다. 현 정부에서 어떻게 대처 할 것인지 이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의 증폭제가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반응형'경제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킹통장 하루만 넣어도 이자가 생긴다?! 리스트 총 정리 (0) 2022.07.21 금리와 물가는 어떤관계가 있을까? (0) 2022.07.12 인플레이션이란? (0) 2022.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