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 주택 거래량 비교분석] 서울집값 정말 떨어졌나?! 전국구 비교 분석 ①부동산 공부/부동산 관련 뉴스기사 정리 2022. 9. 2. 19:54반응형
#아파트매매 #아파트시세 #서울 아파트값 #수도권집값하락 #부동산하락세 #강남집값 #마포집값 #용산집값 #서초구집값 #송파구집값
현재 부동산 관련 기사와 부동산 관련 통계 및 분석 사이트 등을 돌아다니며 자료 수집하였고
개인적인 생각을 작성한 글입니다.
PART 1 에서는 강남,서초,용산,송파,마포구를 분석하였고, 이후 3~5개 구로 나누어 올릴 예정입니다.2022년 주택 매매 거래량 분석 (1월~8월)
위 그래프는 서울 부동산 정보광장의 자료(https://land.seoul.go.kr/)를 참조하였습니다.
오늘 쏟아진 기사들의 내용을 보고 과연 진짜 아파트 가격은 줄어들었나? 그럼 얼마나 줄었길래 자극적인 기사 타이트들이 나왔나 궁금했습니다.서울특별시 주택 총 매매 거래량 증감률
구분 1~2월 2~3월 3~4월 4~5월 5~6월 6~7월 7~8월 증감률 -15% 41.6% 22.7% -1.6% -21.4% -29.4% -50.2% 매매 거래량은 전월 대비 50%의 감소량을 보이며, 현재의 매매거래의 동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제로 주변 부동산을 찾아보면 문을 열지 않고 부재중 연락처를 남겨 놓은 분들이 대부분이며, 부동산 폐업률 역시 개업보다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2022년 주택 전월세[반전세 포함] 거래량 분석
서울특별시 주택 총 전월세 거래량 증감률
구분 1~2월 2~3월 3~4월 4~5월 5~6월 6~7월 7~8월 증감률 6.8% -5.5% -6.8% -1.7% -9.1% -3.6% -33.4% 올해 전월세 증감률은 2월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습니다. 2월을 기준으로 한다면 거의 50% 정도 거래량이 줄어들었으며, 전월대비 33.4%가 줄어들었습니다.
최고치를 발하던 4월 기준 현재 대비 매매 거래량 감소율 50%, 전월세 역시 2월부터 꾸준히 하락하여 현재는 50% 가까이 감소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금리인상, 국제적 인플레이션, 경기침체, 러&우 전쟁, 원유 생산 감소 등의 현재 #스태그 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상황 속에서 연말까지 연준과 한국은행의 금리는 더 올릴 거라는 목표를 내놓고 있는 상황에서 정말 서울 시의 아파트 가격은 내려갔을까요?[부동산 공부/부동산 정부 대책 정리] - [ 도심 내 집 마련, 서울 내 집 마련, 서울 10만 호 공급] 8.16 부동산 정책 정리 ①
[ 도심 내집마련,서울 내집마련,서울10만호공급] 8.16 부동산 정책 정리 ①
8.16 부동산정책 오늘 국토부에서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 즉 부동산 관련 하여 윤석열 정부의 대선 공략을 공시한 것 입니다. ] 분량이 많아 요약이 걸릴꺼 같아 필요 몇가
qusrlfxo.tistory.com
[기준금리인상, 한국은행기준금리] 물가안정에 초점을 맞춘 한국은행 금리인상 "0.25%" -> 현재 기준금리 "2.5%"
[기준금리인상, 한국은행기준금리] 물가안정에 초점을 맞춘 한국은행 금리인상 "0.25%" -> 현재 기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0.25%"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찾아본것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발표기사 였습니다. "빅스텝", "베이비스텝" 등 논란이 많았던 7월이 였던거 같습니다. 금일(08.25) 한국은행
qusrlfxo.tistory.com
반응형
강남구 21년 ~22년 8월 비교
21년 22년 강남구 매매,전세, 거래량 비교
강남구 평균 매매가 비교 (단위 : 만원)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전월대비(%) 20평형 미만 5,494 5,442 5,420 - 1.3 -0.4 20~30평형 7,755 8,132 8,150 + 5.0 + 0.2 30~40평형 7,488 7,941 7,963 + 6.3 + 0.2 40~50평형 7,145 7,665 7,701 + 7.7 + 0.4 50평 이상 7,373 8,145 8,205 + 11.2 + 0.7 합 계 35,255 37,325 37439 + 6.1 + 0.3
매매 형태의 작년 대비 평균가 상승률입니다.작년 대비하여 20평형은 미미한 하락을 보이고, 현재 수요가 높은 20~40평형 까지는 5~6%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전월 대비 전반적인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강남구 평균 전세가 비교 (단위 : 만원)
구분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전월대비(%) 20평형 미만 2,382 2,510 2,497 + 4.8 - 0.5 20~30평형 3,323 3,174 3,153 - 5.1 - 0.6 30~40평형 3,454 3,319 3,310 - 4.1 - 0.2 40~50평형 3,644 3,508 3,494 - 4.1 - 0.3 50평 이상 3,627 3,641 3,618 + 1.4 - 0.6 합 계 16,430 16,125 16,072 - 2.1 - 0.3
전세의 경우는 20평형 미만의 전세와, 50평 이상의 전세 가격이 상승을 보였습니다. 20~40평형읜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입니다. 전월 대비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지만 큰 차이는 없다고 보입니다.
작년 대비 현재의 강남구는 하락세를 보인다라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거래량의 차이입니다.
강남구 총 거래량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 전월 대비(%) 20평형 미만 239 207 131 -57.8 -36.7 20~30평형 590 363 274 -53.5 -53.5 30~40평형 732 445 254 -65.3 -39.2 40~50평형 25 8 0 -100 -100 50평 이상 104 86 54 -48 -48 합 계 1690 1109 713 -57.8 -35.7
가격의 하락은 거래량과 비교해 보았을 때 하락세를 타고 있다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전월 대비 거래량의 감소를 따져보면 강남구의 하락세는 아직이라고 보입니다.
서초구 21년 ~22년 8월 비교
21년 22년 서초구 매매,전세, 거래량 비교 서초구 평균 매매가 비교 (단위 : 만원)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전월 대비(%) 20평형 미만 3,653 3,619 3,608 - 1.2 - 0.3 20~30평형 4,219 4,292 4,295 1.8 0.06 30~40평형 4,318 4,415 4,417 2.2 0.04 40~50평형 4,314 4,573 4,587 6.3 0.3 50 평형 이상 5,118 5,664 5,700 11.3 0.6 합 계 21,622 22,563 22,607 4.5 0.19
수요층이 많은 20~40평형의 평균가는 4,200만 원 ~4,600만 원 사이의 평균가로 형성되어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 수치는 통계의 수를 나누어 평균을 구한 수치이기에 실 매물들의 거래 가격에서는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서초구 평균 전세가 비교 (단위 : 만원)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전월 대비(%) 20평형 미만 1,667 1,679 1,675 0.4 - 0.2 20~30평형 2,149 2,085 2,073 3.5 - 0.5 30~40평형 2,335 2,253 2,241 - 4.0 - 0.5 40~50평형 2,359 2,335 2,330 - 1.2 -0.2 50 평형 이상 2,810 2,887 2,881 2.5 -0.2 합 계 11,320 11,239 11,200 - 1 -0.3
서초구 평균 거래량 비교 (단위 : 만원)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전월 대비(%) 20평형 미만 4105 4257 2242 - 45.3 - 47.3 20~30평형 9651 6712 5044 - 47.7 - 24.8 30~40평형 6192 5211 3448 - 44.3 - 33.8 40~50평형 277 41 13 - 95.3 - 68.2 50 평형 이상 464 384 227 - 51.0 - 40.8 합 계 20,689 16,605 10,974 - 46.9 - 33.9
용산구 21년 ~22년 8월 비교
21년 22년 용산구 매매,전세, 거래량 비교
용산구 평균 매매가 비교 (단위 : 만원)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전월대비(%) 20평형 미만 4,883 5,431 5,453 + 11.6 + 0.8 20~30평형 6,145 6,662 6,691 + 8.8 + 0.4 30~40평형 5,846 6,335 6,367 + 8.9 + 0.5 40~50평형 5,582 6,322 6,352 +13.7 + 0.4 50평 이상 5,776 6,725 6,793 + 17.6 + 1.0 합 계 28,232 31,475 31,656 + 118.3 - 0.5
용산구 평균 전세가 비교 (단위 : 만원)
구분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전월대비(%) 20평형 미만 2,094 2,194 2,208 + 4.7 + 0.6 20~30평형 2,702 2,594 2,569 - 4.9 - 0.9 30~40평형 2,688 2,574 2,550 - 5.1 - 0.9 40~50평형 2,758 2,829 2,835 + 2.7 + 0.2 50평 이상 3,353 3,735 3,773 + 12.5 + 1.0 합 계 13,595 13,926 13,935 + 2.5 + 0.06
.
용산구 총 거래량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 전월 대비(%) 20평형 미만 58 52 1 - 98.2 - 98.0 20~30평형 152 127 82 - 46.0 - 35.4 30~40평형 115 92 71 - 38.2 - 11.9 40~50평형 8 3 0 - - 50평 이상 43 53 16 - 62.7 - 69.8 합 계 376 327 170 - 54.7% - 48.0
용산구는 작년 대비, 전월대비 전반적으로 거래량은 점점 줄어들고 있었습니다. 그에 반면 매매가는 상승하고, 전월세도 주 수요층 20~40평형의 전세 가격만 하락하였습니다.
송파구 21년 ~22년 8월 비교
21년 22년 송파구 매매,전세, 거래량 비교
송파구 평균 매매가 비교 (단위 : 만원)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전월 대비(%) 20평형 미만 5,635 5,540 5,525 - 1.9 - 0.2 20~30평형 5,510 5,548 5,553 + 0.7 - 0.09 30~40평형 6,134 6,087 6,072 - 1.0 - 0.2 40~50평형 5,159 5,296 5,299 + 2.7 + 0.05 50평형 이상 5,175 5,364 5,365 + 3.6 + 0.01 합 계 27,613 27,835 27,818 + 0.7 - 0.06
송파구의 집값은 20~40평형의 집값은 하락세를 보이나 전반적으로 평균을 유지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40~50 평형 ↑은 위 강남구를 제외하고 위 2개의 구와 동일 하게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송파구 평균 전세가 비교 (단위 : 만원)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전월 대비(%) 20평형 미만 2,497 2,396 2,371 - 5.0 - 1.0 20~30평형 2,679 2,525 2,505 - 6.4 - 0.74 30~40평형 2,969 2,762 2,739 - 7.7 - 0.8 40~50평형 2,608 2,508 2,505 - 3.9 - 0.1 50평형 이상 2,633 2,573 2,551 - 3.1 - 0.8 합 계 13,386 12,764 12,671 - 5.3 - 0.7
전세는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나 작년 대비하여 10% 내외이며, 전월 대비 1% 내외로 크게 시세에 영향력을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전반적인 거래량이 줄고 있으며, 많은 수요층을 보유한 20~40평형 의 거래량은 상대적으로 거래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송파구 총 거래량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전월 대비(%) 20평형 미만 215 206 196 - 8.8 - 4.8 20~30평형 681 440 367 - 46.1 - 16.5 30~40평형 543 605 355 - 34.6 - 41.3 40~50평형 49 4 1 - 97.9 - 75 50평 이상 63 42 30 - 52.3 - 28.5 합 계 1,551 1,297 949 - 38.8 - 26.8
마포구 21년 ~22년 8월 비교
21년 22년 마포구 매매,전세, 거래량 비교
마포구 평균 매매가 비교 (단위 : 만원)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전월 대비(%) 20평형 미만 4,169 4,184 4,196 - + 0.2 20평 ~30평형 5,042 5,091 5,078 + 0.7 - 0.2 30평 ~40평형 4,412 4,490 4,493 + 1.8 + 0.06 40평 ~50평형 4,058 4,292 4,304 - 6.0 + 0.2 50평형 이상 3,575 3,971 3,998 + 11.8 + 0.6 합 계 21,256 22,028 22,069 + 3.8 + 0.1
마포구는 전반적인 매매가 상승세가 보이고 있습니다. 큰폭의 상승은 아니지만 하락세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작년, 전월 대비 매매가 방어가 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마포구 평균 전세가 비교 (단위 : 만원)
21년 8월 22년 7월 21년 8월 작년 대비(%) 전월 대비(%) 20평형 미만 2,177 2,212 2,193 + 0.7 - 0.8 20평 ~30평형 2,525 2,431 2,419 - 4.19 - 0.4 30평 ~40평형 2,507 2,515 2,504 - 0.01 - 0.4 40평 ~50평형 2,396 2,422 2,415 + 0.7 - 0.2 50평형 이상 2,218 2,460 2,491 + 12.3 + 1.2 합 계 11,823 12,040 12,022 + 1.6 - 0.1
전세가 역시 큰차이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작년 대비 하락세를 타고 있는 20~30평형의 주택은 매매가 대비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마포구 총 거래량
21년 8월 22년 7월 22년 8월 작년 대비(%) 전월 대비(%) 20평형 미만 128 124 78 - 39.0 - 37.0 20평 ~30평형 538 261 240 - 55.3 - 8.0 30평 ~40평형 299 208 169 - 43.4 - 18.7 40평 ~50평형 10 4 0 - - 50평형 이상 11 6 1 - 90.9 - 83.3 합 계 986 603 488 - 50.5 - 19.0
21년 8월22년 7월 이렇게 [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 마포구 ] 전반적인 매매, 전세, 거래량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뉴스기사에 타이틀은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직접 계산 해보았습니다. 거래량 감소는 맞는거 같습니다. 하지만 전반적인 하락세가 눈에 띄게 보이고 있지는 않은 거 같습니다. 서울권에 남은 다른 지역구들을 더 올려볼 계획이지만 현재 작성된 글의 수치들을 보았을 경우에는 아직 부동산의 하락세는 오지 않았다라는 결론을 조심스럽게 이야기 해봅니다.오늘부터[8.1] 생애최초 주택구매자LTV 80% / 금리 인상으로 인한 "대출이자" 실제로 규제가 완화 된것인가.
오늘부터[8.1] 생애최초 주택구매자LTV 80% / 금리 인상으로 인한 "대출이자" 실제로 규제가 완화 된
주요 내용 생애최초 주택구매자 LTV 상한을 완화(60~70%→ 80%) 규제지역 주담대시 기존주택 처분(6개월→2년)‧신규주택 전입의무 완화(6개월→폐지) 생활안정자금 목적 주담대 한도 완화(1억원→2
qusrlfxo.tistory.com
반응형'부동산 공부 > 부동산 관련 뉴스기사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 [미국주식추천, 2차전지관련주,애너지관련주] 리튬 아메리카스 2차전지 주원료 수산화리튬 주력회사 (8) 2022.09.13 국토부 대광위, 부산시 혼잡도로 개선사업(문전지하차도) 개통 (0) 2022.07.28 4억 미만 주택 고정금리 전환 9월 시행 + "생애 첫 내집마련 금리 인하 검토" (0) 2022.07.18 하반기 집값 하락할까? 전세 하락 월세 상승세 (0) 2022.07.11 "전통부촌" 방배동 5·6구역 재건출 이달 착공?! (0) 2022.07.06